1. 결핵치료
결핵균은 다른 세균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특성 때문에 대부분의 항생제에 듣지 않고 치료 방법 또한 일반적 인 세균감염과 다르다.
지금까지 10여 가지의 항결핵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결핵 초치료의 경우 이 들 약제들을 적절히 병합하여 정해진 기간 동안 꾸준히 복용하면 대부분에서 완치가 가능하다.
그러나 초치료 에 실패하여 내성이 증가하여 다제내성 결핵이 되면 치료가 매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치료 성공률 또한 낮다. 그러므로 결핵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는 결핵균의 특성을 이해하고 치료 원칙에 따라 철저히 치료하여 초치료에 서 결핵을 완치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.
결핵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항결핵제들을 6개월 이상 장기간 복용하여야 하므로 결핵환자는 항 결핵제들을 불규칙하게 복용하거나 도중에 복용을 중단하기 쉽다. 그러므로 결핵환자를 치료하는 의사의 역할 은 적절한 항결핵제들을 처방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고 치료가 끝날 때까지 환자가 처방 받은 항결핵제들을 꾸준히 복용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.
결핵은 전염병이므로 치료 목적은
1) 질환의 완치로 환자의 삶의 질 및 생산성을 회복시키는 것뿐만 아니라,
2) 활동성 결핵의 전염을 감소시키며
3) 결핵의 재발과 약제 내성의 발생 및 전파를 예방하는 것이다
2.항결핵제의 분류
항결핵제는 1940년대에 스트렙토마이신(streptomycin, S), 파스(p-aminosalicylic acid, PAS)가 결핵치료에 처음 도입되었고, 이후 이소니아지드(isoniazid, H), 피라진아미드(pyrazinamide, Z), 에탐부톨(ethambutol, E) 리팜핀(rifampin, R) 등 효과적인 항결핵제들이 차례로 개발되어 이들 약제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치료하면 대부 분의 결핵이 완치가 가능하게 되었다
항결핵제는 일반적으로 일차 항결핵제(first-line drug)와 이차 항결핵제(second-line drug)로 구분된다. 항 결핵 효과가 좋을 뿐 아니라 부작용이 적어서 초치료 결핵에 사용되는 약제들을 일차 항결핵제라고 하며, 이에 비하여 항결핵 효과가 낮고 부작용이 많아 일차 항결핵제를 내성이나 부작용으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만 주로 사용되는 약제들을 이차 항결핵제라고 부른다.
일차 항결핵제에는 이소니아지드, 리팜핀, 에탐부톨, 피 라진아미드가 포함된다(표 1). 스트렙토마이신은 표준 초치료 과정에서 제외되었으나, 국제보건기구(WHO) 의 광범위약제내성결핵(extensively drug-resistant tuberculosis, XDR-TB) 정의에서 스트렙토마이신을 이 차 항결핵 주사제로 포함시키지 않으므로 정의상 일차 항결핵제로 분류한다.
그러나, 리핌핀 내성 혹은 다제 내성 결핵(multidrug-resistant tuberculosis, MDR-TB)의 치료에서 이차 항결핵 주사제인 아미노글리코시드 (aminoglycosides)나 카프레오마이신(capreomycin, Cm)을 사용할 수 없고, 약제 감수성 결과에서 내성이 없는 경우에 이들 약물의 대체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, 이 경우 스트렙토마이신은 이차 항결핵제로 분류한다
3.항결핵제 투여방법
항결핵제의 투여 용량과 부작용은 표 2와 같다. 비만증 환자에서는 과용량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상 체중 (ideal body weight)을 고려하여 용량을 감량할 수 있다. 일차 항결핵제는 최대 효과를 위해서 나누어서 복용하는 것보다 하루치 용량을 한 번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. 리팜핀은 고지방식이에 의해 흡수가 억제될 수 있으므로 식사 30분 전 또는 식사 2시간 후와 같은 공복 시에 복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위장 장애가 있을 경우 식후 또는 취침 전에 복용할 수 있다.
.....
잠복결핵감염 양성건강보험치료(산정특례등록)방법 (0) | 2023.02.07 |
---|---|
Andropause 남성갱년기 알아볼까요? (0) | 2023.02.06 |
Andropause 남성갱년기 알아볼까요? (1) | 2023.02.03 |
Alzheimet disease(알츠하이머병) (0) | 2023.02.03 |
결핵 치료 (0) | 2021.01.19 |